반응형
2025년 현재 미국 로보택시 시장은 기술 개발과 상용화 확대가 활발히 진행 중
Waymo (알파벳)
시장 점유율: 85% 이상
현황 : 샌프란시스코, 피닉스, 로스앤젤레스 운영 중. 2024년 400만 건 이상의 유료 승객 이동 기록. 2025년 애틀랜타/오스틴 확장 및 우버 앱 통합 서비스 시작, 일본 도쿄 진출 선언, 향후 지커와 현대자동차에서 로보택시 공급 예
- 장점
- 리볼빙 LiDAR 다중센서 시스템으로 정밀한 주행
- 1,000만 마일 이상의 실제 주행 데이터 보유
- 우버와의 협력으로 기존 차량 호출 생태계 통합
- 단점
- 차량 1대당 20만 달러 이상의 고가 장비 부담
- 도시별 규제 차이로 확장 속도 제한
Zoox (아마존)
시장 점유율: 10% 내외
현황 : 2025년 라스베이거스 상용화 목표. 컨퍼런스식 좌석 배치의 전용 차량(토스터 형태) 도입. 샌프란시스코/마이애미 테스트 중, 2023년 2월 샌프란시스코에서 일반인 탑승 허가, 올해 안으로 로보택시 서비스 상용화 목표(Zoox Explorer)
- 장점
- 스티어링 휠 없는 전용 설계로 승객 공간 최적화
- 4면 균등 센서 배치로 360도 인식 정확도 향상
- 카메라 이외의 다양한 센서 탑재
- 악천후 시에도 최고 시속 72Km로 운행 가능
- 단점
- 차량 생산 속도 제한(연간 1만 대 미만)
- Waymo 대비 도시당 차량 밀집도 1/5 수준
테슬라 사이버캡
시장 점유율 : 준비 단계(상용화 전)
현황 : 2025년 6월 오스틴에서 유상 서비스 시작 예정. 모델 Y/3 기반 FSD 12.3 버전 테스트 중, 카메라만으로 레벨5 자율주행 기술 완성할 수 있다고 주장, 2027년 출시 목표, 목표 가격 3만 달러, 로보택시 운영을 위한 면허 아직 취득하지 않음
- 장점
- 200만 대 이상의 실차 데이터 수집 가능
- 카메라 Only 시스템으로 차량당 5천 달러 저비용
- 단점
- SAE Level 4 미달로 현재 '감시형' 모드만 운영
- 주행 중 갑작스런 정지 사례 다수 보고됨
폐업/축소 기업
- GM 크루즈 : 2023년 보행자 사고 후 전면 철수
- 포드 아르고 AI : 2023년 27억 달러 투자 중단
시장 전망
2025년은 Waymo의 독주 체제가 지속되나, 아마존/테슬라의 자본력으로 2026년 이후 본격적인 삼파전이 예상됨 특히 테슬라는 2026년 사이버캡 양산 시작과 함께 시장 재편 가능성
반응형
'미국주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4년 4분기 맥도날드(MCD) 실적발표일 (1) | 2025.02.06 |
---|---|
2025년 2월 팔란티어(PLTR) 기업 분석 (1) | 2025.02.05 |
엔비디아(NVDA) 2024년 4분기 실적발표일 (3) | 2025.02.03 |
아마존닷컴(AMZN) 2024년 4분기 실적 발표일 (3) | 2025.02.02 |
제타 글로벌 홀딩스 2024년 4분기 실적 발표일 (1) | 2025.02.02 |